DISCOVERY of DESIGN <5:연결하다>
Voice of Coffee / Yusuke Seki / 2018 / KOBE
이 커피전문점은 고베의 분주한 번화가 한복판에 있습니다. 이 가게가 생기기 이전에는 이발소였다고 합니다."理容AAA'는 이전에 이발소가 있을 때 쓰던 간판이라고 하는데 지나가던 사람들이 그때의 그 이발소를 추억할 수 있도록 그냥 그대로 쓰기로 했다고 합니다. '아, 여기 그 예전에 이발소 있던 그 자리에 있는 커피숍 있잖아? 거기에 있어."라고 말할 수 있도록요.
전면의 큰 유리창은 개방감을 줍니다. 그런데 기존의 공간보다 더 뒷쪽으로 유리창호를 후퇴시키고 대기공간을 만들어 버렸어요. 예전 사진을 한 번 보시면 이해가 빠를겁니다.
원래 이발소가 있을때는 전면부 도로변 바로 앞까지 샤시 후레임이 있었어요. 공간이 꽉차있는 면적인데 저걸 걷어내고 입구에 대기공간을 만들었어요.
비교를 해보면 오히려 건물이 더 밝아진 느낌입니다. 차라리 공간 파티션을 안으로 더 밀어넣고 빈 공간을 만들어 놓으면 조명으로 빈공간을 채워놓어서 더 깊이감이 있는 파사드(입면)를 만들수가 있습니다.
내부 마감은 거친 콘크리트 질감 그대로 적용했습니다. 조명으로 나머지를 다 채워 넣었는데요 그럼에도 너저분해 보이지 않고 깔끔한 느낌이 나는 이유는 색감이 통일되게 연출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콘크리트의 회색과 메탈의 무광 회색이 적당한 톤으로 서로 연결되어 있어서 혼자 튀어 나가는 컬러의 톤이 없이 차분하게 가라앉아 있어요.
기존의 천장을 구성하는 반자구조틀을 그대로 재사용 했는데요 설비배관들도 보온재를 다시 씌웠습니다. 천장은 뭐 아무것도 안 한것 같지만 실제로는 각재(각목)의 간격과 수평레벨을 딱 맞춰서 정돈 했습니다.아무것도 안 한것 처럼 보이게 연출하려면 실제로는 참 이것 저것 손이 많이 갑니다.
수직수평 엄청 잘 맞춰놨어요. 그냥 아무렇게나 공간을 자른게 아니고 나름의 규칙에 맞게 균형감을 고려해서 구분하였습니다.
글래스블록(GLASS BLOCK:유리벽돌)을 잘 활용했습니다. 글라스블록은 내부의 빛이 바깥으로 새어나올 때 균일한 간격과 조도로 나옵니다. 그리고 적당히 시선을 가려주거 균형감을 조성합니다. 간단하게 말하면 그냥 유리는 너무 속이 다 들여다 보이지만 유리벽돌은 살짝 가려주는 느낌을 주어서 내외부의 공간구분을 보다 명확하게 합니다.
거친 벽면 그대로 질감을 잘 살렸습니다.
뒷편에 커피로스팅기 있는 자리에는 별도의 파티션 없이 직각으로 구성된 스툴을 만들어서 배치하였습니다. 이 매장의 전체적인 분위기가 잘 정돈된 이유는, 분명히 벽면은 거친 콘크리트 날 것 그대로이고 천장도 그냥 각재가 그대로 붙어있고 바닥도 타일 한 장 없지만 다른 소품들이 직선으로 잘 정돈되어 깔끔하게 바로잡아 주기 때문입니다.
외관은 정말 무심한 듯 수수하게 만들었지만 내부에서 새어나오는 저 조명의 연출이 다른 것들을 채워줍니다. 넓은 유리창과 거친콘크리트 벽면을 때리는 주광색의 간접조명이 차분한 분위기를 이끌어냅니다.
저 진열장도 많은 고민이 있었다고 합니다. 잘 보시면 그냥 앞으로 열리는게 아닙니다. 'ㄱ'자형으로 된 케이스 전체가 열리는 구조입니다.
처음부터 한눈 팔지 않고 심플하고 단정한 초기 컨셉을 그대로 유지했습니다.
시공 당시의 자료사진들을 보면서 '아... 저걸 다 일일이 기계로 갈아냈구나....' , ' 야...저 배관을 다시 다 수정하고 간격을 다 맞췄구나...' 등등 참 노고가 많았다는걸 느낄 수 있었습니다.
예상견적은 3천~4천만원
건축회사가 공개한 도면과 내부 사진 그리고 마감 소재들을 바탕으로 유사한 스타일과 퀄리티로 국내에서 구현한다면 최소 약 3천~4천만원 정도의 견적이 예상됩니다. 구축상가의 1층 길게 생긴 7~8평짜리 매장이라면 충분히 해볼만한 디자인입니다. 보통 작은 상가주택의 경우 벽면이 조적벽돌로 이루어진 경우가 많은데, 제 경험상 기존의 내장재들을 다 걷어내고 조금만 정성을 들이면 디자인사례처럼 결과물이 잘 나옵니다. 물론 벽면을 다뜯고 나면 그냥 갈아내고 끝내면 안됩니다. 수성 투명코트라도 여러번 도포하여 광택의 깊이와 시멘트의 질감을 내가 원하는대로 콘트롤 하여야 합니다.
국내환경에서도 충분히 구현이 가능한 해외의 우수한 인테리어 사례들. 베이직 인테리어는 우수한 사례가 될만한 해외의 우수한 인테리어 디자인 컨셉과 시공사례들을 계속 소개해 드리고자 합니다. 그리고 국내 실정에 맞게 적용한 인테리어 시공 상담도 받고 있습니다.
'인테리어디자인(interior design) > 상업 공간 디자인' 카테고리의 다른 글
RAMA Restaurant / MMA (4) | 2023.08.14 |
---|---|
Suetomi AoQ Cafe Stand / G architects studio + Ryohei Tanaka (2) | 2023.08.14 |
Hoo. Café / Koyori (0) | 2023.08.11 |
Cucina Italiana Komatsu Restaurant (0) | 2023.08.10 |
70's INTERIOR DESIGN - BUDAFEST 1 (0) | 2023.02.23 |